청남대(靑南臺)
1980년 대청댐 준공식에 참석한 전두환 대통령이 주변 환경이 빼어나다는 의견에 따라 1983년 6월 착공, 6개월만인 12월에 완공되었다.
“청남대”는 충청북도 청원군 대청댐 부근 1,844,843㎡ 의 면적에 지어진 대통령 전용별장으로 ‘따뜻한 남쪽의 청와대’라는 의미이다.
역대 대통령들은 여름휴가와 명절휴가를 비롯하여 매년 4~5회, 많게는 7~8회씩 이용하여 20여년간 총 89회 472일을 이곳에서 보냈다.
대통령 별장은 이승만 대통령 시절부터 김해를 비롯해 4군데가 있었으나, 김영삼 대통령 시절 모두 폐쇄하고 청남대 한 곳만 남겼다.
청남대는 휴양 중에도 항상 국정을 수행할 수 있는 완벽한 시설을 갖춤은 물론 대청호 상수원 보호를 위해 최고의 수질정화시스템을 구축, 운영하였다.
또한, 청남대는 국가 1급 경호시설로 청와대에서 관리하고 4중의 경계철책과 경호실338경비대가 경비를 수행하다, 2003. 4. 18 노무현 대통령에 의해 관리권이 충청북도로 이양되고 일반인에게 개방되었다.
급변하는 국내외 정세 속에 대통령에게는 커다란 결단이 요구될 때가 많았다. 역대 대통령들은 국정운영의 중대한 고비에서 청남대에 머물며 정국에 대한 구상을 하였고, 이때 내린 결단들은 역사를 뒤바꿔왔다. 이것이 바로『청남대 구상』이다. 그 밖에 청남대에서 국빈을 맞이하기도 했다.
청남대에는 대통령이 사용한 건물 몇 동과 잘 가꿔진 아담한 정원, 몇 갈래의 산책로가 있다. 청와대처럼 청기와를 입힌 2층 본관 앞에서는 쭉쭉 뻗은 50∼60년생 소나무 수십 그루가 손님을 맞는다. 본관 옆에는 대통령의 손자가 놀았음직한 어린이놀이터와 비행기모형, 수영장·테니스장 등 운동시설이 들어서 있다. 뒤쪽 구릉에는 토종 잔디가 깔린 헬기장이 있다. 본관 정원에는 주목, 잣나무, 자두나무, 향나무, 백송 등 정원수들이 우아한 자태를 뽐내고 있다. 이곳에서 내려다보는 대청호는 경관이 일품이다. 정원에서 호수 앞 정자로 이어지는 소나무 오솔길과, 배밭 사이로 나 있는 배밭길, 호반을 따라 1㎞ 정도 가늘게 이어진 긴 산책길을 걸으면 마음이 평온해지고 사색에 잠기게 된다. 베일에 가려졌던 청남대를 구경하려면 먼저 예약을 해야 한다. 예약은 청남대 홈페이지(http://chnam.cb21.net)에 접속하면 신청할 수 있다.
입장객은 하루 1000명으로 제한된다. 개방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고 월요일은 개방을 하지 않는다. 개별 도보 관람이 허용되지 않고, 셔틀버스를 타고 관광안내원의 설명을 들으며 양어장, 본관 건물과 정원에 이어 수영장, 6홀짜리 미니 골프장, 호수 앞 정자 등의 순으로 돌아 나오게 되어 있다. 소요시간은 약 2시간. 청남대 본관은 제한적으로만 개방된다.
또한 청남대 내에서는 취사를 할 수 없고 음식물 반입도 허용되지 않는다.
청남대 헬기장
2대의 헬기가 이착륙이 가능한 잔디밭으로 면적은 4,463㎡이고 축구, 국궁, 양궁, 배구, 야구, 게이트볼장으로 이용하였다. 2003. 4. 18 노무현대통령이 지역주민과 함께 청남대 개방 행사를 한 장소이다. 중앙의 봉황 조형물은 정크아트로 생활 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본관입구
지상2층, 지하1층, 연면적 2,699㎡ 규모로 1층은 회의실, 접견실, 식당, 손님실이 있고 2층은 대통령전용공간으로 침실, 서재, 거실, 식당, 가족실, 한실 등이 있으며 다섯분의 대통령이 88회 이용한 국내유일의 대통령휴양시설이다.
본관앞 분수대
본관
본관앞 분수
본관앞 모과나무
본관앞 정원
청남대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로 청남대 명물중 하나인 모과나무(2014년 현재 224년)
모과모양이 참외처럼 예뻐 청와대로 진상하고 본관내부에도 진열하여 모과향으로 가득 채우기도 한다.
오각정으로 향하는 산책로
오각정 산책로
오각정 가는 길의 석교(石橋) 예전에는 목교(木橋)였다고 한다
오각정은 1983년 본관 신축 시 33㎡ 규모로 건립되었으며, 20여년 동안 대통령 내외와 가족들의 산책코스로 가장 사랑을 받아 온 곳이다. 많은 야생화와 숲이 어우러져 삼림욕에 적합하고 낮에는 호수와 산을, 밤에는 달구경과 손자들의 재롱을 보시던 청남대 제1경으로 본관으로부터 350m, 해발 104m에 위치해 있는 무궁화 모양의 오각형 정자다.
오각정에서 바라본 대청호
오각정에서 바라본 대청호
국내 최장의 다목적 인공호수인 대청댐은 산간계곡과 어울려 빼어난 경관을 이루고 있는데 호반주변에는 20년만에 개방된 청남대를 비롯하여 현암사, 문의향교등 많은 문화유적이 잘 보존되어 있다.
대청호를 두고 호숫가 주민들의 자랑은 대단하다. 끝없이 이어지는 잔잔한 물결과 호반 위에 섬처럼 떠있는 산봉우리들이 이른 아침이면 하얀 물안개로 가려지고 낮에는 쪽빛 하늘과 흰구름으로 장식되는 모습이 한폭 살아 숨쉬는 수채화를 연상시킨다고 표현한다. 또 물길을 따라 이어지다가 사이사이 울창한 숲터널로 꼬리를 감추는 호반도로도 아름답기 이를 데 없다는 것이다. 대청호는 금강의 한가운데를 막아 만들어진 거대한 호수로 중부내륙의 너른 들에 물줄기를 대는 중요한 수원지 역할을 한다.
대청댐은 대전과 충북 청원군 사이에 놓여있고, 저수용량 14억 9천만t에 이르러 중부권에서는 충주호 다음으로 큰호수다. 해발 200~300m의 야산과 끝없이 이어지고 있어 대청호반은 충청도 인심만큼이나 넉넉한 인상을 안고 있다. 대청호 드라이 브코스는 2길로 이어진다. 그중 하나는 청주와 신탄진을 잇는 호수의 북쪽자락이고, 다른 하나는 보은과 옥천으로 이어지는 남쪽자락이다. 두 길 중 북쪽자락인 청원군 문의면과 현도면 오가리 사이 경관이 가장 빼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청남대 양어장
면적은 2,645㎡로 봄부터 가을까지는 양어장, 겨울에는 스케이트장으로 이용되었다. 수질정화를 위해 메타세콰이어 숲으로 물을 끌어올려 돌미나리, 고랭이 등으로 자연 정화시키고, 산소공급을 위해 국민의정부 초기에 3개의 분수를 설치하였다. 비단잉어, 붕어, 향어 등 다양한 종류의 물고기가 있으며 정면에는 대통령이 휴식을 하며 물고기 먹이를 주고 노는 모습을 관람하였던 의자가 있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