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아리랑의 특색
1. 이 민요는 오래전까지 정선아라리로 불리워 왔으며 그 가락은 구슬프고 구성진 곡조를 지니고 있다.
2. 다른 민요와 같이 한가지의 일이나 하나만의 전설을 소재로 하여 부른것이 아니라 그때 그때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인간상을 노래한 것이다.
3. 그때 그때의 지닌 감정을 속임없이 전래의 가락에 맞추어 부름으로써 가사가 많다.
4. 합창이 아니고 뜻이 통하는 노래를 서로 주고 받으며 부르고 혹 후렴을 달아서 합창하는 예도 있다.
5. 자연과 인생을 비유하여 노래한 것과 진리를 노래한 것이 많다.
6. 율창으로 부르던 한시는 전하지 않고 풀이되어 부르던 노래만 전한다.
7. 낙향 선비들에 의해 불려진 노래는 한시가 인용된 것이다.
8. 장소를 가려서 동년배들 끼리만 부르는 외설적인 노래도 있다.
9. 한문을 숭상하던 지난날 이었기에 체계적으로 남겨진 기록이 없다.
10. 다른 지방으로 흘러나간 정선 아리랑의 가락은 많은 변천을 가져오며 그 지방의 아리랑으로 지금도 흘러 퍼지고 있다.
'동영상(動映像)'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년에 혼자 잘 사는 방법 (0) | 2017.05.16 |
---|---|
아들을 울린 아버지의 유언 (0) | 2017.05.14 |
1968년서울의여름풍경 (0) | 2016.07.12 |
1966년 서울모습 (0) | 2016.07.11 |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 1925년 한국 (0) | 2016.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