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론성지( 舟論聖地) 배론(舟論)은 치악산 동남 기슭에 우뚝 솟아 있는 구학산(985m)과 백운산(1,087m)의 연봉이 둘러 싼 험준한 계곡 양쪽의 산골 마을로 골짜기가 배 밑바닥처럼 생겼다고 하여 배론이라 불리어졌다. 이곳은 오직 하느님만을 선택한 한국 초대교회의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숨어 들어와 화전과 .. 충청도 2017.05.02
청주 중앙공원 충청도병마절도사영문(忠淸道兵馬節度使營門) 충북유형문화재 15 충청도병마절도사영문(忠淸道兵馬節度使營門) 병마절도사란 조선시대에 각 지방에 두어 병마를 지휘하던 종2품의 무관 벼슬이다. 병마절도사 영문 건물은 청주읍성 안에 있었던 충청도 병마절도사 영(營)의 출입문이다... 충청도 2016.12.13
괴산동헌(東軒) 괴산군 괴산읍에 있는 조선시대 관아건축물이다. 괴산 현감이 집무를 보던 동헌으로 조선시대 초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후 여러 번 중수를 쳤으며 일제강점기 이후에는 관청으로 사용되다가 괴산군 엽연초 생산조합의 관사로도 쓰이기도 했다. 1996년 원형을 거의 상실한 내부.. 충청도 2016.12.12
괴산 취묵당(醉墨堂)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충민사길 45 괴강가에 자리하고 있는 취묵당은 1662년(현종3년)에 백곡 김득신(栢谷 金得臣)이 만년에 세운 독서재(讀書齋)이다. 팔작지붕에 목조 기와집으로 내면은 통간 마루를 깔고 난간을 둘렀다. 비교적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괴강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더불.. 충청도 2016.12.11
김시민장군 충민사(金時敏將軍 忠愍祠) 효충문 선무문 충민사 유적비 김시민장군 묘 충민사 구사당 구사당 괴강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충민사길 46 김시민장군 충민사는 임진왜란 때 전공을 세운 충무공(忠武公) 김시민(金時敏)과 문숙공(文肅公) 김제갑(金悌甲)의 위패를 봉안하고 제향하는 사당이다. 김시민(1554-1592)의 자는.. 충청도 2016.12.09
선유동계곡(선유구곡仙遊九谷) 선유동문 (仙遊洞門) 선유동문은 백척이 넘는 높은 바위에 새새마다 여러 구멍이 방을 이루고 있다. 바위에 '仙遊洞門(선유동문)'이라고 새겨져 있다. 연단로(鍊丹爐) 연단로는 위가 평평하고 가운데가 절구처럼 패여있는데, 신선들이 이곳에서 금단을 만들어 먹고 장수하였다고 한다. 와.. 충청도 2016.07.05
괴산고산정 - 제월대(槐山孤山亭-霽月臺) 충북 괴산군 괴산읍 제월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정자. 정면 2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 충청북도 기념물 제24호. 1596년 유근이 별서를 꾸며 만송정이라 부르다가 광해조에 이르러 고산정이라 개칭하였다. 정면 2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건물. 충청북도 기념물 제24호. 1596년(선조 29) 충.. 충청도 2016.07.04
괴산 소금강 쌍곡 입구에서 2.3㎞지점에 위치하며 쌍곡구곡중 극치를 이루는 절경으로 그 경치가 마치 금강산의 일부를 옮겨놓은 듯 하다하여 소금강이라 불려지고 있다. 계절에 따라 변하는 그 독특한 절경과 그 밑으로 흐르는 맑은 계곡수가 가히 소금강으로서의 손색이 없는 곳이다. 517번 지방도 .. 충청도 2016.07.03
보은 선병국가옥 충북 보은군 장안면 개안길 10-2 ‘위선최락(爲善最樂)’, 즉 선을 행하는 것이 가장 큰 즐거움이라는 가풍에 따라 관선정을 열고 전국의 인재들을 모아 가르쳤다. 주위의 어려운 사람들이 배고픔을 몰랐다고 할 만큼 선을 베푼 따뜻한 집이다. 99칸 대궐이 들어선 곳은 서원계곡 끝자락 소.. 충청도 2016.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