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정암사(淨岩寺)

浮石 2015. 5. 21. 06:00

 

신라의 큰스님이었던 자장율사가 선덕여왕 14년(645) 깊고 높고 웅장한 태백산 서쪽 기슭에 창건하였다고 하며, ‘숲과 골짜기는 해를 가리고 멀리 세속의 티끌이 끊어져 정결하기 짝이 없다’ 하여 정암사()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오대산 상원사, 양산 통도사, 영월 법흥사, 설악산 봉정암과 더불어 석가의 정골사리를 모시고 있는 5대 적멸보궁의 하나이며, 창건 설화로 자장율사와 문수보살의 이야기가 전하지만 그 밖의 내력은 거의 전해지지 않고 있다.

 

적멸보궁.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32호.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석가모니불의 사리를 수마노탑에 봉안하고 이를 지키기 위하여 건립한 것이다.

 

 

 

선장단()

적멸보궁 입구의 석단에는 선장단()이라는 고목이 있다. 이 나무는 자장율사가 짚고 다니던 지팡이를 심은 뒤 수백 년 동안 자랐으나 지금은 고목으로 남아 있다.

신기한 점은 고목이 옛날 그대로 손상된 곳이 없다는 것인데, 다시 이 나무에 잎이 피면 자장율사가 재생한다고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관음전(觀音殿)

 

육화정사(六和精舍)

육화정사(六和精舍)

선불도장(佛道)

범종각

정암사 일주문

수마노탑

수마노탑 : 보물 제401호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돌아올 때 가지고 온 마노석으로 만든 탑이라 하여 마노탑이라고 한다. 마노 앞의 수() 자는 자장의 불심에 감화된 서해 용왕이 마노석을 동해 울진포를 지나 이곳까지 무사히 실어다주었기에 ‘물길을 따라온 돌’이라 하여 덧붙여진 것이다. 전란이 없고 날씨가 고르며 나라와 백성이 복되게 살기를 기원하며 세워졌다.

전체 높이가 9m에 이르는 칠층모전석탑으로, 탑 전체가 길이 30~40㎝, 두께 5~7㎝ 크기의 회색 마노석으로 정교하게 쌓아졌다. 언뜻 보면 벽돌을 쌓아올린 듯하다.

1층은 마노석을 15단으로 쌓아 높이 103㎝, 한 변이 178㎝ 되게 만들었으며, 층수가 한 단계 높아질수록 그 크기는 줄어들고 있다. 탑의 1층 남쪽면 중앙에는 1매의 판석으로 짜여진 문비가 있으며, 문비에는 철제 문고리도 장식돼 있다.

지붕돌은 낙수면에 층단이 있는 전탑의 양식을 따랐으며, 추녀 폭은 전탑임에도 불구하고 넓은 편이다. 지붕돌 층급받침은 1층에서는 7단으로 되어 있으나 위층으로 올라갈수록 한 단씩 줄어 7층에서는 1단이 되었고, 낙수면의 층단도 1층에서는 9단이지만 층을 거듭할수록 한 단씩 줄어 7층에서는 3단이 되었다.

상륜부는 화강암으로 조성된 노반 위에 갖가지 청동제 장식이 완전하게 얹혀 있다. 윗부분에는 네 가닥으로 돌출된 끝에 풍경이 달려 있다. 몇 군데를 빼고는 각 지붕돌의 네 모서리에 풍경이 가지런히 매달려 있다. 바람이 불어 날아들면 풍경이 청량한 소리를 내며 고요한 산사를 휘감아돌아 몹시 소슬하게 느껴진다. 깊은 성찰을 주는 짙은 소리이다.

전체적으로 그다지 거대한 편은 아니지만 형태가 정제되어 있고, 수법이 정교하다. 탑 앞에 배례석이 놓여 있는데, 여기에 새겨진 연화무늬나 안상무늬는 고려 시대의 특징을 나타낸다. 정암사 창건 당시에 자장율사가 건립하였다고 전하지만 탑의 양식으로 보아 고려 시대의 탑으로 추정된다.

정암사 비명에 의하면 18세기 이후 몇 차례에 걸쳐 중수되었으며, 지난 1972년 해체·복원된 이래 지반이 기울고 있어 전면 보수가 다시 심각하게 논의되고 있다고 한다. 1972년 해체 당시 탑지석()과 사리 장엄구가 발견되었다.

본래는 자장이 당나라에서 구해온 석가의 신물(, 사리·치아·염주·불장주[]·패엽경[] 등)을 ‘세 줄기의 칡이 서린 곳’에 나누어 각각 금탑, 은탑, 수마노탑을 모셨다고 하는데, 후세 중생들의 탐욕을 우려한 자장율사가 불심이 없는 중생들은 금탑과 은탑을 육안으로는 볼 수 없게 숨겨버렸다고 한다. 정암사 북쪽으로 금대봉이 있고 남쪽으로 은대봉이 있으니 그간의 어디에 금탑과 은탑이 있을 것이라고도 전한다.

 

'강원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평역  (0) 2015.05.23
정선 아리랑시장(5일장)   (0) 2015.05.22
거칠현동(居七賢洞 ) 칠현사(七賢祠), 칠현비(七賢碑)  (0) 2015.05.20
덕상리 황금집  (0) 2015.04.02
원주 용소막 성당(龍召幕聖堂)  (0) 201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