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강의 많은 비경 중에서도 가장 잘 알려진 곳으로 , 고기가 비단결 같이 떠오르는 연못 이라는 뜻 선인들이 전하기를 "사람은 절경에 흘리고
비경에 몸을 던진다. "고 하듯이, 천하절경을 본 사 람은 많아도 천하비경을 본 사람은 많지 않다.
비경은 숨어 있어속세인에게는 그
모습을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어라연은 동강의 상류인 거운리에 위치하고 있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4%2F25_9_1_21_07Sr8_IMAGE_0_4.jpg%3Fthumb&filename=4.jpg)
어라연은 일명 삼선암이라고도 하는데 옛날 선인들이 내려와 놀던 곳이라 하여 정자암이라 부르기도 하였다고
한다.
강의 상부, 중부, 하부에 3개의 소가 형성되어 있고 그 소의 중앙에 암반이 물속으로부터 솟아있고 옥순봉과 기암괴석들이
총총히 서 있는 모습이 마치 사람같기도 하고 또 불상같기도 하며 또 짐승같기도 하여 볼 때마다 그 모양들이 천태만상으로 보인다.
또
금리월척이 벽담에 미만하고 이상스런 풀잎들이 바위틈에 솟아 금강산의 일부를 가져다 놓은 듯 하기도 하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2F25_9_1_21_07Sr8_IMAGE_0_6.jpg%3Fthumb&filename=6.jpg)
1431년(세종 13년)에 큰 뱀이 바위 맨 위에 가끔 나타났다.
당시 그것을 본 사람들의 전언에 의하면 그 길이가 수십척이며
비늘은 동전만 하고 머리에는 두귀가 나 있고 복부에는 발이 네 개 있었다고 한다.
그 때 그 소문이 퍼지자 조정에서는 권극화(權克和 )를
보내어 알아보게 하였다.
극화가 연못 가운데 배를 띄우니 갑자기 폭풍이 일고 파도가 험악하여 지더니 그 자취를 찾을 수 없었다.
그
후 큰 뱀의 모습도 다시는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영월 땅이름의 뿌리를 찾아서)
당시는 어라연 동편에 어라사라는 절이 있어 풍치를
더욱 돋우었다고 하나 지금은 그 사지(寺址)만 남아있다.
(차량은 자연보존 차원에서 전면 통제하므로 다리 건너기전에
주차)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4%2F25_9_1_21_07Sr8_IMAGE_0_5.jpg%3Fthumb&filename=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