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도 체험관 입구
갱도체험관 통로
굴진 : 지하 깊숙히 매장된 석탄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탄맥까지 갱도를 뚫어야한다. 이렇듯 갱도를 굴착하는 과정을 굴진이라하며, 이때 형성된 갱도는 인력, 장비, 석탄 운반을 위한 통로로 이용된다. 시공된 갱도는 그 형태에 따라 수평갱도, 사갱, 수갱으로 구분하고 기능에 따라 운반갱도와 통기갱도로 구분된다..
발파준비
발파 : 석탄의 채탄 또는 막장까지의 갱도 확보를 위해 폭약을 이용하여 암석을 파괴하는 작업이다..
동발설치를 위해 통나무를 등에지고 나르고 있다..
동발설치 : 갱도가 무너지지 않게 쇠나 나무 기둥으로 받치는 작업이다. 실제 막장에서 중요한 일은 탄을 캐는 것보다 갱도를 유지, 확보하는 일이 가장 중요한 일이다..
막장작업장 : 탄광의 갱도 끝에 있는 채굴이나 굴진 작업장을 막장이라한다..
채탄장비 :
광차(Mine car) : 광산에서 채굴된 광석이나 석탄을 운반하는 차로 적재량은 1톤이다. 탄광에서는 탄차라고도 한다..
인차(Man car) : 작업장이 장거리, 심부화 됨에 따라 광부를 작업장 가까이 수송하는 차로서, 운행되는 갱도의 형태에 따라 수평갱 인차, 사갱 인차로 분류된다..
갱도사무실 : 하루의 굴진 및 채탄량과 작업원 확인, 안전검사, 인차, 광차의 배차에 관하여 감독하는 곳이다..
갱도체험관 옆의 옛날의 탄광갱도.. 갱안에서 흘러나오는 물에 철분이 많아 바닥이 붉게 물들었다..
'寧越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월탄광체험관 4 (광부들의 생활상) (0) | 2011.06.11 |
---|---|
영월 탄광문화촌 3 (문화체험관) (0) | 2011.06.10 |
영월 탄광문화촌 1 (강원도 탄광문화촌) (0) | 2011.06.07 |
영월 우성식당 (0) | 2010.12.08 |
흥월리 (0) | 2010.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