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내장사(內藏寺)

浮石 2011. 10. 17. 12:00

 

일주문

歷千劫而不古 (역천겁이불고)

천겁을 지났으되 옛날이 아니로고

 

亘萬歲而長今 (긍만세이장금)

만세를 뻣쳤으나 즉, 지금이로다.

 

 

일주문을 통과하여 법당으로 들어가는 길

 

내장사 부도군의 돌담

내장사 부도군

내장사 부도군

 

天王門

아름다운 내장산국립공원의 품안에 안겨 있는 내장사는 백제 무왕 37년(636년)에 영은조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한 때는 50여 동의 대가람이 들어섰던 때도 있었지만, 정유재란과 6.25때 모두 소실되고 지금의 절은 대부분 그 후에 중건된 것이다. 선운사, 금산사와 함께 전라북도의 대표적인 절이다. 내장산의 산봉우리들이 병풍처럼 둘러싼 가운데에 자리 잡아 주변 경치가 매우 아름다우며, 특히 가을철 단풍이 들 무렵의 절 주변의 아름다움은 이루 말할 수 없다.
백양사. 방장산. 장성호. 담양호 등이 주변에 있고 주요 문화재로는 내장사 조선 동종이 보존되어 있다.

정혜루(定慧樓)

 

圓覺山中生一樹(원각산중생일수)  

원각산중에 한그루의 나무

 

開花天地未分前(개화천지미분전)

천지 나뉘기 전에 꽃이 피어나니

 

非靑非白亦非黑(비청비백역비흑)

푸르지도 희지도 아니하며 또한 검지도 아니하네

 

不在春風不在天(부재춘풍부재천)

봄바람에도 있지 아니하고 하늘에도 아니 있도다.

 

정혜루(定慧樓)

천하명승내장산

극락전

 

관음전

 

조선 동종

 

조선영조 44년(1768년)에 제작된 높이 80cm, 종신의 높이 60cm, 구경 50cm의 소형 범종이다.
용머리의 정교한 문양과 음향이 조선시대 작품으로 수작으로 꼽힌다. 명기에 영조 44년 시주 조한보(趙漢寶)가 그의 아버지 (조인구), 그의 어머니(양씨)의 기복을 위하여 조성한 것이라 적혀있다.

전남 장흥 보림사(寶林寺)가 폐찰될 즈음하여,1890년(고종 27)에 영담(映曇)이 시왕상과 범종을 내장사로 옮겼다. 시왕상은 한국동란으로 소실되자, 원적암에서 현 내장사로 옮겨온 것이다. 현재 관음전에 봉안되어 있다.

1943년에 무기 제작을 위해 강제 징발되었다가 다시 찾았다고 한다.

 

 

범종각

대웅전 

돌기둥으로 된 대웅전

대웅전

 

내장사는 지금으로부터 1300년 전 백제 제30대 무왕(600-640)37년인 서기 636년(백제멸망 660년24년 전)에 당시 도승이신 영은조사께서 지금의 절 입구 부도전 일대로 추정되는 자리에 대웅전등 50여동에 이르는 대가람으로 백제인의 신앙적 원찰로서 영은사 란 이름으로 창건되었고 1098(고려조 숙종3년) 행안선사께서 전각당우를 중창했다는 기록이 있을 뿐 자세한 연혁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1557년(조선조제13대 명종12년) 희묵대사가 법당과 요사를,1639년(인조17년) 부용대사가 사우를 중창하고 불상을 개금했으며,1779년(정조3년) 영운대사가 대웅전과 시왕전을 중수하고 요사를 개축하였다.

1923년 백학명 선사가 사세를 중흥시킨 뒤 1938년 매곡선사가 대웅전과 명부전, 요사등을 신.개축하여 현 위치에 내장사의 면모를 일신시켰으나, 한국전쟁으로 인하여 1951년1월12일 소실된 것을 마지막으로 창건이래 5화 7건으로 역사가 있다. 1957년 주지 야은스님께서 요사,1958년에 현 대웅전을 중건하였다.1964년 무량수전을 세우고 1965년 대웅전 불상과 탱화를 조성 봉안 하였다.

그 후 1974년 국립공원 내장사 복원계획에 따라 일주문, 명부전, 정혜루를 복원하고 사천왕문이 신축되었다.조선조 성종때 석학 성임(1421-1484)은 정혜루기에서 영은사는 고려말엽 지엄선사의 개산에서 비롯된다고 기록한 뒤, 정혜루는 당시 영은사의 문루로 1467년(세조12년)에 시작하여 다음해 준공된 3간으로 그 규모나 형태가 장엄무비하다고 전하고 있다.

최근 내장사는 향적원과 정혜원, 요사등을 신축하고 1994년 10월에는 사리탑을 건립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했다.
원래 내장산에는 명찰 영은사가 있었으니 영은사는 지금의 부도전 위치에 있었다.

정읍에서 11㎞ 떨어진 내장산은 영은산이라 불렸으며 전국 8경의 하나로써 용굴과 금선폭포, 도덕폭포와 금산, 원숙 등 두개의 계곡이 흐르고 있다.

출처 : 내장사 홈페이지

'전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창군 복흥면  (0) 2011.10.21
추령 장승촌  (0) 2011.10.19
내장산 단풍고개  (0) 2011.10.18
내장산  (0) 2011.10.16
내장산 우화정  (0) 2011.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