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

광주시 남종면 검천리(능곡마을)

浮石 2006. 7. 16. 01:52

 

 

 

 

 

 

남종면의 지명유래

분원리(分院里)
조선조 시대 궁중에서 쓰는 사기그릇을 관장하던 사옹원(司甕院)의 현지 제작소가 있던 곳으로서 분점이란 뜻에서 분원이라 불리웠다. 영조시대에는 분루원이라고도 불렀다. 이곳에는 옹기 및 사기를 구워파는 시장이 오랜동안 번창하였으나 을측년 대홍수 이후에는 쇠퇴하였으나 광주 분원하면 지금도 사기(司器)그릇을 연상하는 곳이다.

검천리(檢川里)
능곡ㆍ알미ㆍ종단의 세 자연부락을 합하여 원래는 '사천리'(四川里)라 하였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개천을 측량한 이후에는 '검천리'라 부르게 되었다.
검주(檢단舟)
이곳은 수심이 낮아 여주, 원주 등지로 가던 뱃짐이 이곳에서는 다시 짐을 내려서 간다고 해서 '검주'라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능곡(陵谷)
충청도에서 한양으로 풍산(豊山) 심씨 집안의 장례행렬이 지나가다가 갑자기 불어닥친 바람으로 명정(銘旌)이 날려 이곳에 꽂히므로 여기에 묘를 썼다고 한다. 이리하여 이곳 지명이 '능곡'이 되었다는 것이다.
알미
이 말을 건너편에서 바라보면 마을의 형태가 새가 알을 품고 있는 형상이라고 해서 '알미'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양지(陽地)말
이 마을 주위의 경관이 아름답고 또 양지가 바른 곳에 위치한 마을이라고 해서 '양지말'이라 이름하게 되었다 한다.
종여(終灘)울
청탄에서부터 시작한 남한강의 거센 여울이 이곳에 와서 끝난다고 해서 '종여울'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수청리(水靑里ㆍ푸프레여울)
이 마을 앞으로 흐르는 강줄기가 하도 맑고 푸르러서 이름을 푸르레여울'이라 부르고 한자이다. 윗마을은 '청탄' 아랫부락은 '작은청'이라 부른다.
구항동(狗項洞ㆍ굽은목)
이 마을 앞으로 흐르는 물줄기가 거센 여울을 이루면서 흙과 모래를 퇴적시키면서 물줄기가 굽어 꺾이는 곳이고 해서 '구항도'이라 하고 속칭으로는 '굽으로목'이라 부른다.

귀여리(歸歟里)
조선조 중종때 정승 한 분이 이곳에 낙향하여 귀여정(歸歟亭)이란 정자를 짓고 소일하였다고 하여 이 마을을 '귀여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에 '귀여리'라 일컫게 되었다고 한다.
귀실(貴室ㆍ구실)
옛날 어느 정승 한 분이 이곳 경관이 하도 아름다워 발길을 멈추고 잠시 쉬어갔다고 해서 '귀실'이라고 하다가 지금은'구실'이라 부르게 되었다.
수리울
이 마을의 입구는 좁으로 그 안은 매우 넓은 마을인데 뱀바위 부엉바위등에는 독수리, 부엉이 같은 수리과 조류등이 많이 살았다. 그리하여 마을이름도 '수리골'이라 하다가 지금은 '수리울이라 부르게 되었다.
제청말
옛날에 이 마을에는 마을사람들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제청이 있었다고 하여 '제청말'이라 하게 되었는데 지금은 수몰(水沒)되었다.

금사리(金沙里)
옛부터 이마을 앞으로는 하천이 하나 있는데 이 하천에는 사금(砂金)이 났다고 한다. 따라서 이 마을을 '金沙里'라 부르게 되었다.
구(舊)터
조선조 시대 사옹원(司甕院)에서 필용한 사기그릇을 굽던 가마터가 있던 곳인데 이 가마가 분원으로 옮긴 후 이곳은 '가마터가 있더 옛터'란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삼성리(三成里)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에 '삼정동'(三政洞), '과학동(過鶴洞), '족자동'(族子洞)을 합하여 '세 마을이 모여 이루어진 마을'이란 뜻으로 '삼성리'라 부르게 되었다.
삼정(三政)골
이곳은 경관이 아름다워 조선조 말기에 안(安), 노(盧), 권(權)씨성을 가진 세정승의 묘를 썼다고 해서 '삼정골'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과학동(過鶴洞)
이곳의 경관이 매우 아름다워 학들이 무리를 지어 이곳에서 서식하였다고 하여 마을이름을 '과학동'이라 부르게 되었다.
족자동(簇子洞)
조선시대 권교인이라 정승이 임금으로부터 족자를 하사받아 족자에 쓰인 데로 95칸 짜리 큰 집에 살았다고 해서 '족자동'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이석리(二石里)
이곳은 1914년 전국의 행정구역이 개편도던 이전 시기까지는 성림동(聖林洞)이라 부르다가 조선조 말기 고종의 자(字)가 성림(聖臨)이라 황공하여 석림(石林)이라 부르게 되었는데, 이웃의 석조정(石潮亭)을 합하여 '이석리'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서울,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종면 면명(面名)의 유래  (0) 2006.07.18
화서 이항로선생 생가  (0) 2006.07.17
남종면 귀여리  (0) 2006.07.14
평 舍那寺 삼층석탑  (0) 2006.07.12
舍那寺 원증국사 탑  (0) 2006.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