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

국립 중앙 박물관

浮石 2006. 8. 17. 17:18

 

 

 

 

새 박물관은 우리의 전통적인 건축정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다는 입장에서 건축의 기본개념을 설정하였다. 장대하게 하나로 보이는 두 건물 가운데에 우리건축의 고유 공간인 마루를 상징한 열린마당을 두어 모든 사람에게 개방, 전시실이나 사무동 등 박물관의 모든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시작점이 된 곳이다.
우리나라에는 산이 많아 생활환경에서 떼어 놓을 수 없으며 산은 물과 어울릴 때 음과 양으로서 조화와 균형을 이루게 되고, 물질적 풍요와 정서적 안정을 누리게 해주었다. 박물관 건물은 대지 안쪽 깊숙한 곳에 전통방식에 따라 남향받이와 배산임수의 양식으로 배치하였다.
건립부지는 중심부에 연못과 옥외에 전시 공간, 휴게시설 등을 조화롭게 배치 핵심공간으로 구성하였고. 용산 가족공원의 자연스러운 경관을 보전하면서도 박물관 건물과 자연스럽게 조화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폭포, 계류, 녹지 공간 등을 조성하여 격조 높은 문화공간으로 만들어 이용도를 극대화하였다.
새 국립중앙박물관은 장차 미군기지가 이전되면 서울의 중심축이 될 용산 부지개발에 대비하여 북측에도 정면성을 부여하는 광장 및 진입공간을 배치하였으며 복합 박물관 단지의 첫출발이라는 상징적 의미도 지니고 있다.
수장공간 환경구획(재질별 구분, 가스제거필터, 훈증시설)
진열장 기능 강화(밀폐형 진열장, 광섬유 조명, 자외선 필터)
방재시스템 구축
화재조기감지시스템
건물계측시스템
통합방범시스템
건물의 라이프사이클 비용 최소화
통합 인테리젼트빌딩 시스템
저에너지 사용(심야전력, 송풍량 자동제어(VAV), 모터 회전수 제어(VVVF), 우수이용설비)
쾌적하고 편안한 빛 환경
유물특성 고려한 연출
자연채광 도입(자외선 차단)
가상박물관 구현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인터넷 서비스


'서울,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종대왕릉(영릉)1  (0) 2006.09.21
63빌딩  (0) 2006.08.22
남종면 이석리  (0) 2006.07.24
남종면 면명(面名)의 유래  (0) 2006.07.18
화서 이항로선생 생가  (0) 2006.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