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통일 공원은 19996년 9월18일 북한 무장 잠수함이 침투한 것을 계기로 무장 간첩 침투지역에 국민들에 대한 통일염원을 위한 아픔을 체험.안보의식 고취를 목적으로 조성하게 되었으며 강릉통일공원은 함정전시관과 안보전시관이 있으며 함정전시관에는 우리해군의 퇴역함정(전북함)과 북한군이 타고 온 북한 잠수함이 전시되어 있다.
■ 퇴역함(전북함)
* 최초명; 에버릭 프레드릭 라슨함(Everett F Lason) DD-830
* 함명의 유래
전북함은 1972년 한국에 인수되기 이전 미국해군에서 "에버릭프레드릭 라슨"함이라 칭해
졌는데 이는 1942년 태평양전에서 22살의 나이로 장렬히 전사한 미국해병대원의 이름
으로 그의 애국심을 기리기 위한 것.
* 한국명: DD-916전북함(Roks Jeonbuk)
* 제 원: 길이 118m. 폭 12,5m, 높이 27.4m, 무게 3.471톤
* 속 도: 32knot (# 1knot=1820m/h 32knot=58.24km/h) 최대 승선인원 : 280명
* 1944년도에 미국에서 건조, 1972년부터 1999년까지 해군에서 이용한 해군전투함. 1999년에
퇴역 제 2차 세계대전 6.25 동란과 걸프전에서 공헌 전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육상에 인양
된 함정,
* 해상 크레인 1800톤급 1대와 1500톤급 1대로 인양, 이 배는 지상 3층, 지하 1층으로 설계된
현재 관람 가능한 공간은 지상 29개실 중 17개실
* 함장실,조타실 등 영상자료실과 해군에 대한 역사적,문화적 사실을 알릴 수 있는 각종 전시
실로 활용되고 있다.
▶ 지하 전시실
* 거북선 모형 전시
* 바다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한다(해군 영상물 5분)
* 해군제복,계급장.해군식기류, 해군 하,동정복, 해군물품,(육분의. 장안경 방위환,갑판시계.
건습구온도계.제도기.비상신호등.표준시계.자기나침의 등)
* 전묵함의 역사. 우리해군. 해군의역사. 한국해군의 해전사(삼국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한
국전쟁--현재)
▶ 1 층
* 침 실: 기관장실, 사관실, 통신관실. 부장실등
* 행정실: 함정의 운용에 필요한 행정업무를 수행하는 곳,
* 이발실: 함정내 이발하는 장소로 승조원은 두발을 정기적으로 정리 해군의 외모를 지켜나
간다.
* 의무실: 응급사고 처치 및 승조원의 건강을 관리 하는 곳,
* 세탁실: 의복 및 생활도구 등의 세탁공간으로 세탁은 부서별 일정에 의하여 수행 된다.
* 취사실: 사병과 장교용 식사가 분리되어 준비되며 많은 인원의 식사를 만드는 독특한 대
용량 조리기구가 설비되어 있음,
*사관 취사실: 장교용 식사는 사병의 식사와 별도로 조리되고 있음,
* 사관실; 사관들의 전용 공간으로 회의. 교육, 식사 및 휴식 각종신고 장소로 활용.
* 작전관실: 작전관은 함장의 명령을 하달 받아 작전을 계획하고 수립하며 그 수행을 책
임 진다.
▶ 2 층
* 함장실: 함장 전용의 일상업무 및 생활공간으로 함장는 군사,행정,작전들의 통수권을
행사하여 군함을 지휘한다.
* 전자실: 적함정의 위치 식별을 위해 그 방사전파의 특성을 측정하고 아군의 위치를 막기
위해 적의 전파 방사를 방해 기만하는 해상전자전 장비실,
* 해도실; 해도의 보관 및 판독의 공간으로 다양한 항해기구들이 설치되어 있음,
* 사통레이다실: 함포가 목표물을 명중 시킬수 있도록 목표물을 찾아내고 추적하는 화기
관재용 레이더를 통해 얻은 정보와 기타 정보를 처리하는 시설물,
* 통신실: 전파를 이용해 외부함정들과 송,수신하는 곳,
* 송신실: 함정에서 원거리 지역에 신호를 보내기 위한 시설물,
* 헬기격납고 착륙장: 핼기 이. 착륙 및 격납고
▶ 3 층
* 함 교: 전투와 항해의 지휘장소롤 항전의 핵심 부분이다. 함장과 당직사관은 이곳에서
임무를 수행하여 진로를 유지 변경하는 조타의 지휘 등 모든 명령 지휘는 함교에
서 나온다.
* 조타실: 조타장치 및 항해와 통신장지가 갖추어져있어 함교의 함장이나 당직사관의 지휘
에 따라 함정의 진로 또는 속력을 유지 하거나 변경하는 시설,
* 함장대기실: 함장는 함교에서 작전과 항해를 지휘. 통제하고 모든 상황에 대하여 신속하
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교 바로 옆에 위치함
* 제 원: 길이 35m. 폭 3.5m, 타워를 포함한 높이 6.7m 무게 325톤
*속 도: 7,5kton(# 1kton=1.820m/h, 7,5knot=13.65km/h)
* 1996년 9월 18일 북한 무장간첩 26명승선, 좌초된 상어급 잠수함,
* 잠수함 내부에서 사망한 무장간첩은 없으며 좌초당시 26명이 전원 탈출
* 탈출과정에서 군사기밀을 막고자 잠수함 내부의 방화로 일부가 소실되어 현재까지 특수한
냄새가 베어 있음.
* 당시 상황을 그대로 유지해 지금도 일부 잠수함 내부가 그을려 있음,
* 대규모 침투 가능성을 시험, 제2의 중대한 도발을 위한 전투정찰임무 이었음,
* 전과: 25명중 생포 1명, 사살 13명, 동료에 의한 피살 11명,
* 피해; 전사 11명, 민간인 6명 사망, 부상 22명,
* 바다의 약 4천평을 육지로 조성
* 현재 북한 잠수함이 있는 곳이 그 당시 좌초된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