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초당은 결혼하기 전 딸들이 거처하는 공간으로 학문을 하거나,서예,자수등을 하면서 신부로서 갖춰야 할 심신을 수양하는 곳이다.
주로 내당 후원 조용한 곳에 위치하며 대청과 방으로만 구성된 규모가 작은 건물이다.
모든 건물이 기와인 반면 이엉으로 되어 있어 초당(草堂)이라 한다
사당 : 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곳.
내당 : 이곳은 안주인을 비롯한 여자들의 일상생활 공간으로 손님을 맞이 하거나 학문수양 및 자녀교육,여가생활등을 하는 여자들의 사회문화적 활동이 이뤄지는 곳이다.
중부지방 특유의 'ㄱ'자 형을 기본으로 안방 뒤편으로 윗방을 달아낸 형태이다.
널은 대청을 중심으로 큰안방과 여러개의 윗방,건넌방이 있고 가장 오른쪽에 부엌을 두었다.
내외문과 중문을 통하지 않고 사랑채로 갈 수 있는 회랑과 툇마루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특이하다.
회랑 : 회랑은 건물과 건물을 연결하는 복도의 성격을 지닌 건축물이다. 특성상 지붕은 갖추고 있으나 벽체는 한쪽은 폐쇄하고 한쪽은 개방하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연결이 기능을 하는 건축물의 형태는 비단 사찰에서만이 아니라 세속의 궁궐에서도 많이 볼 수 있고 실제의 기능도 거의 유사하다.
외별당
외별당은 남성들의 공간으로 사랑채의 담장 밖에 위치하며 일각문을 통해 출입하도록 되어 있다.
'ㄱ'자형의 마루중심의 집이며 온돌방과 대청,누마루로 구성되어 있다.
외별당은 특별한 손님을 접대하거나 모임,풍류를 즐길 때 사용하던 곳으로 주인의 사회문화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연못과 정자가 부설되어있다.
| ||
내당까지 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누마루,대청 등이 온돌방과 적절히 혼합되어 있어 전형적인 중부지방 가옥의 특징이 돋보이기도 한다.특히 사랑채는 한국전쟁동안 9.28 수복 후 약 1년 동안 수원 지방법원 건물로 사용되었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
'서울,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자원(한국민속촌 셋트장) (0) | 2008.06.25 |
---|---|
북부지방 농가 (0) | 2008.06.22 |
너와집과 굴피귀틀집 (한국민속촌) (0) | 2008.06.17 |
서낭당(한국민속촌) (0) | 2008.06.16 |
점술집(한국민속촌) (0) | 2008.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