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동리(光桐里) |
- 예전부터 산수(山水)가 아름답고 들판이 넓어 항시 밝은빛이 비추고 풍년을 이루어 와서 복 받은
마을이라 하여 광복동이라고 불러왔음
- 조선조 말 대한제국시대 까지는 광복동'(光復洞)과 동대동(東垈洞으로 2개 마을이었으나, 1914년 일제
강점기에 행정구역을 통폐합하면서 광복동의 '광(光)'과 동대동의 '동(東)'을 따서 광동리가 되었음.
관음리(觀音里)
- 1914년 이전까지는 상관음동(上觀音洞),하관음동(下觀音洞) 2개 마을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시
관음리가 됨.
- 이 마을에는 예전에 관음사(觀音寺)라는 절이 있었는데, 이때부터 관음골, 관음동이라고 불러왔음.
우산리(牛山里)
- 조선시대에는 상우산동(上牛山洞), 하우산동(下牛山洞)의 2개 마을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우산리가 됨.
- 이 마을의 주위는 온통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그 산모양이 마치 소가 드러누운 것 같은
와우형(瓦牛形)이라하여 우산(牛山)이라는 마을이름이 생겼다고 함.
영동리(嶺東里)
- 조선초기에 광주목사가 이곳을 지나면서 동쪽에 있는 고개 너머에 있는 마을이라하여
'영동리'라고 불러왔음.
- 거먹골, 구룡동, 석둔 등 3개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음.
도수리(陶水里)
- 예전에 마을앞에 연못이 하나 있었고, 그 연못가에 도자기를 굽던 가마가 있어서 그 연못의 이름을
도지(陶池)과 함.
- 김생원의 집 안마당에서 물이 솟아 올라 샘을 파고보니 그 물이 매우 차고 맑아서 '참샘' 이라고 했으며
이 마을의 이름을 수동리(水洞里)라고 함.
- 1914년 일제 강점기에 행정구역을 통폐합하면서 도지동의 '도(萄)'와 소동리의 '수(水)'를 따서
陶水里라고 함.
오리 (梧里) - 마을에 큰 오동나무가 있어 '오동나무골' 이라고 불려왔는데 한자(漢字)로 마을이름을 지으면서
'오리(梧里)라고 함.
도마리(道馬里) - '중정남한지(重訂南漢志)'에 도마치(倒馬峙)라고 기록되어 있는 바, 이는 "말이 넘어진 고개"라는
뜻으로 도마치 고개가 너무도 가파르고 험하여 말이 고개를 넘다가 여러번 넘어지는 일이 발생하여
이런 이름이 생겼다는 설화가 전해짐.
- 마을에 여우가 사람을 괴롭히는 일이 자주 있어 어느 도공(陶工)이 여우를 잡아 죽이자, 죽은 여우의
혼이 다시 사람을 괴롭혀서 그 여우의 혼을 누르기 위하여 도공이 도자기로 만든 말(馬)을 여러개 만들어
고개에 세웠다고 한다. 그 뒤로는 여우의 괴롭힘이 없어지고 이마을 이름을 도마리(陶馬里)라고 하였음.
무수리(無愁里) - 조선조 말 대한제국시대 까지는 초월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일제가 행정구역을 통폐합하면서 퇴촌면
관할에 편입
- 광산 김씨(광산 김씨)의 세저지로서 이곳이 물이 맑고 산수가 수려해 사람들이 모두 장수하고 근심없이
신선과 같이 살아 왔다고 하여 '無愁里'라고 불러 왔음.
- '무술', '무시울' 이라고 함.
원당리(元堂里)
- 1914년 이전까지는 초월면 관할이었다가 행정구역 통폐합시 퇴촌면 지역으로 편임.
- 조선시대에 이 마을에 금척원(金尺院)이 있어 '원당'이라는 이름이 생김.
- 옛날 이 마을 출신의 장수로 이름을 날리던 사람이 있었는데 그를 이 마을의 으뜸 되는 사람이라 하여
그의 집을 원당이라고 하고, 마을이름을 '원당이' 혹은 '원댕이'라고 함.
- 마을에 큰 연못이 있었는데, 아무리 날씨가 가물어도 물이 마르지 않는 원지(元池)가 있었다고 하여
'원당'이라는 마을 이름이 생겼다고 함.
정지리(亭支里)
- 조선조 말 대한제국 때 까지는 정자동(亭子洞)과 지위동(支渭洞)으로 두 마을이었으나, 1914년
일제 강점기에 행정구역을 통폐합하면서 정자동의 '정(訂)'과 지위동의 '지(枝)'를 따서 '정지리'라고 함.
- 정자동 : 예전에 마을에 정자(訂子)가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 지위동 : 조선시대에 한양의 명문거족의 자제들이 이곳에 내려와 한가롭게 낚시질을 하는 것이 마치
강태공과 같고 그 경치가 삼국지에 나오는 중국의 기산(祁山)에서 위수(渭水)를 바라보는 듯 하다고하여
'기산위수(祁山渭水)'를 줄여 '기위'라고 했던 것이 '지위(枝渭)'로 바뀌었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