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호리(下虎里)
하호리는 옛날부터 하호곡(下虎谷) 또는 아랫범실이라고 불렀으며, 양지말과 음지말, 그리고 건너말로서 2개의 자연마을로 나뉘어 있다. 본래 지명은 호곡(虎谷)이라고 했다. 고려 말 목은 이색의 시 「금사팔영(金沙八詠」에 “호곡경전(虎谷耕田)”이라는 기록이 있다. 호곡은 우리말로 범실이다. 그리고 범실은 상하로 나누어 윗범실과 아랫범실로 불렀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상호리와 구분하여 하호리라 하였다.
「금사팔영」의 “호곡경전” 중에서 | |
들판은 부자가 다 차지하고 | 平野牢龍盡 |
거치른 뙈기밭만 남았고나 | 荒余片段餘 |
밭갈아 조석을 때우니 | 窮耕度朝夕 |
제갈공명의 집을 찾아온 듯하구나 | 還似孔明廬 |
• 아랫범실 : 옛날 어느 상주와 지관이 묏자리를 구하러 이곳 마을을 지나다가, 호랑이가 입을 크게 벌리고 아픈 표정으로 소리를 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지관이 다가가서 입속을 살펴보니 비녀가 걸려있어, 그것을 꺼내어주자 호랑이가 고맙다는 표정을 지으며 사라졌다.
그 후 그곳에 묏자리를 쓰게 된 상주의 집안은 번창하였으며, 이때부터 이 마을을 범실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건너말 : 아랫범실 시골개울 건너 음지쪽에 있는 마을이다.
• 벌땀 : 아랫범실 벌판에 있는 마을이다.
• 안땀 : 아랫범실 서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 새터말 : 하호리에 새로 생긴 마을이다.
(구전자:윤기창 73세)
본래 여주군 금사면의 지역으로서, 하호곡 또는 아랫범실 이라고 부르며 양지말과 음지말, 그리고 건너말로서 2개의 자연부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시 상호리와 구분하여 하호리라 하였다.
※본래 지명은 호곡(虎谷)이라고 했다.
고려 말 이색(목은)의 금사팔영(金沙八詠) 시에서 호곡경전(虎谷耕田)이라고 했다.
호곡은 우리말로 범실이다. 범실은 상하로 나누어 윗범실과 아랫범실로 나눈다.
ㆍ남산(南山)(구전자:윤기창 73세)- 아랫범실 남쪽에 있는 산
ㆍ남성바위- 하호리에 있는 바위로 남생이처럼 생겼다. ※남산바위
ㆍ다락재-하호리에 있는 고개 ※언덕이 진 고개
ㆍ다락지고개→ 다락재
ㆍ대천터 (구전자:윤흥용 65세)-하호리 입구에 있는 옛날 집터
ㆍ더메고개 ※더매=더미
더메산에 있는 고개 ※더미산 참조
ㆍ더메산-하호리에 있는 산
※산 능선이 굴곡이 심하지 않고 긁어 모은 듯한 산
ㆍ면화밭들(구전자;윤기창 73세)- 하호리에 있는 들로 면화 밭이 있었다.
ㆍ바랑골-하호교에서 소유리로 들어가는 방향의 골짜기로 바람이 세며 골짜기의 모습이 마치 승려가 지고 다니던 바랑같이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발(山)+안(內)+골→ 발안골→ 바란골→ 바랑골= 위치가 산안으로 들어가 아늑한 골짜기
ㆍ벌터-벌담 앞에 있는 들
ㆍ범시골개울 (구전자:윤흥용 65세)- 양지말 앞에 있는 내로 범싯골-개울이라고 부름
ㆍ보똥웅덩이- 양지말 길 건너 냇가에 있는 빨래터
ㆍ봉바위- 하호리 입구 다리부근에 있는 바위로 마치 부엉이처럼 생겼다.
※봉(峰)-솟은 바위
ㆍ봉배들- 봉바위가 있는 들
ㆍ산수앞 (구전자:윤흥용 65세)-하호리에 있는 들로 상호리, 장흥리, 하호리의 세 골짜기 물이 합쳐지는 곳
ㆍ숲안- 하호리에 있는 늪으로 숲이 우거진 곳.
ㆍ시골개울(구전자:윤기창 73세)- 하호리 양지말 길 건너 쪽에 있는 내
※시=(셋:三)
ㆍ윤개묘(尹漑墓)- 조선시대 (1494-1566:성종25-명종21년)의 문신의 묘로 1516년(중종11)에 식민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한 후 이조좌랑을 거쳐 좌의정 등을 지냄.
ㆍ지붕산 (구전자:윤흥용 65세)- 하호리 양지말 서북쪽에 있는 산
ㆍ칠성당(七星堂) (구전자:윤기창 73세)- 숲안 북쪽에 있는 당으로 마을 사람들이 칠성에게 복을 빌었다고 전해진다.
ㆍ터골 (구전자:윤흥용 65세)- 하호리에서 장흥리 사이에 있는 길옆 골짜기로 큰 터골과 작은 터골로 구분하여 부른다.
ㆍ하마터 (구전자:윤기창 73세)- 하호리와 장흥리 사이에 있는 길옆 작은 들로 옛날 하마비(下馬碑)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ㆍ하호곡(下虎谷)→하호리
'서울,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파영당(西坡影堂) (0) | 2007.03.30 |
---|---|
상호리(上虎里) (0) | 2007.03.29 |
호실령(虎室嶺) (0) | 2007.03.28 |
양동면 매월리 (0) | 2007.03.28 |
북내면 주암리 농가 (0) | 2007.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