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죽림재(竹林齋)

浮石 2011. 10. 30. 00:00

 

 

취사당(聚斯堂-竹林祠 講堂)

취사당(聚斯堂-竹林祠 講堂)

취사당(聚斯堂-竹林祠 講堂)

취사당(聚斯堂-竹林祠 講堂)

세일재(歲一齋 - 曺由道의 墓閣)

세일재(歲一齋 - 曺由道의 墓閣)

세일재(歲一齋 - 曺由道의 墓閣)

앙지문(仰止門)

죽림사(竹林祠)

죽림사(竹林祠)

죽림과 그 아들인 운곡(雲谷) 조호(曹浩)의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1708년(숙종 34)에 문인과 후손들에 의해 죽림사(竹林祠)가 건립되었다고 한다..

장서각(藏書閣)

죽림재(竹林齋)

죽림재(竹林齋)

죽림 조수문(竹林 曺秀文, 1426∼?)이 건립한 정사(亭舍)로서 대대로 창녕 조씨 문중에서 관리하는 강학(講學)의 장소이다. 초창 건물은 1592년 임진왜란 당시 귀중한 문적과 함께 소실하였고, 1623년 인조 1년에 죽림선생의 6대손인 삼청당(三淸堂) 조부(曺簿)에 의해서 중건되었다. 그 후 죽림선생의 아들인 운곡(雲谷) 호(浩)의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숙종 34년(1708) 문인과 후손에 의해 죽림사(竹林祠)가 건립되었고 영조 27년(1751) 죽림재와 같은 위치로 이건하였다.고종 5년(1868)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2000년 복원되어 현재 4위(죽림 조수문, 문곡 조호, 삼청당 조부, 소은 정민하)를 배향하고 있다.
 
죽림재와 관련된 유적으로는 취사당(聚斯堂-竹林祠 講堂), 세일재(歲一齋-曺由道의 墓閣), 충효각(忠孝閣-曺簿의 孝子 旌閭閣), 죽림사유허비(竹林祠遺墟碑), 조원향기실비(曺沅享紀實碑), 장서각(藏書閣) 등이 있다.

이러한 유적들을 개별적으로 논하자면 특별한 점은 없다 할지라도 문중 선인들의 유적이 한곳에 모여져 있다는 것만으로도 그만큼의 충분한 가치가 있다.

글  : 담양군 문화관광 홈페이지 

'전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쇄원(瀟灑園)   (0) 2011.11.01
식영정(息影亭)   (0) 2011.10.31
후산리 은행나무  (0) 2011.10.29
명옥헌원림(鳴玉軒苑林)   (0) 2011.10.28
송강정(松江亭)   (0) 2011.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