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형신 시집 - 서강에 다녀오다

浮石 2014. 2. 18. 17:20

 

 

 

 

 

1부
가을은
치자 향
늦봄, 대추나무
산염불
서강에 다녀오다
앉은뱅이꽃
연혁
분토리
방씨네 소
바람이 전하는 말
아버지의 산
선림원 가는 길
의자
석불역

2부
봄날은 간다
고향에 가지 못하리
쑥의 뼈
그해 겨울
강이 지워졌다
물 위의 집
번잡림에 들다
비누
쌍치 반점
우리 지금은
두고 온 나무
사리암 가는 날
노산이 쓴 편지
쑥골

3부
폐사지에서
쇄재를 넘으며
화서 이항로
눈이 오는 날은
달이 오르면
겹동백나무
대낮
길 위에서
금골산에서 놀다
다시 강가에
귀가 운다
청등도
소금꽃

4부
한 권의 책
삼엽충화석
희망촌 1길
풍장
피노리
햇빛 한 줄기 버려져 있다
감로암
봄날
기차는 목마르다
오래된 가방
장호원을 꿈꾸다
서거차도
천장
유형지에 두고 온 귀

해설 공광규
길과 절과 꽃의 시

 

 

 

<임형신 시집 표사글>

 

임형신 시인은 구체적 체험과 상상을 아름답게 직조시키는 데 매력이 있다. 그의 체험은 직접 온몸으로 더듬어 캐낸 짙푸른 산하 곳곳에 뿌리박고 있으며, 그의 상상은 한없이 뻗어나가 지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향하여 던져져 있다. 그는 강원도의 깊고 높고 외진 산골에 버려져 있는 듯한, 그러나 결코 버린 적 없는 그 풋풋한 삶 속에 가깝게 다가가 있으며, ‘맨살의 후박나무 거칠게 울음 우는 서거차도(西巨次島)’나 ‘노령(蘆嶺)의 국사봉 아래’처럼 자기 자신을 키워낸 고장에 대한 진득한 그리움이 그려져 있다. 이 커다란 두 봉우리가 임형신 시인을 두루 감싸고 있으며, 또한 그의 시세계에는 환경과 폐사지에 대한 극진한 애정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들고 싶다. 그의 시는 ‘어쩌면 밖에서 바라보는 우리 자신의 내면 풍경 같은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얼핏 하게 되는 것이다.                                                        

                                                                                   

                                                                                                                                     -이수익(시인)

 

임형신 시인은 지상의 목마른 것들을 안아주는 물 같은 시인이다. 그중에서도 깊은 계곡을 흘러내리는 가을물 같은 시인이다. 그의 시에는 생을 관조하는 깊은 흐름이 있고 물소리가 있다. 가을 물은 흘러가면서 세상의 소리들을 듣는다. 그는 지상의 세속공간으로 변해버린 ‘번잡림’을 지나 “화전민이 이고 가다 내려놓은 길”옆을 나란히 흐르기도 하고, “해묵은 할머니 기침소리만 남겨두고 대처로 떠돌던 아버지가 내려놓고 다닌 산”의 지형을 읽어내기도 한다. 하지만 어지러운 산자락을 지나는 가을 물의 눈은 여전히 맑고 깊다. ‘감로산 기슭

숨어있는 샘’같은 시인은 세상의 도처로 흐르고 흘러 물을 찾아다닌다. 그가 찾아다니는 물은 곧 시이다. 그의 시가 맑게 고여있는 샘에는 “지나던 새 물마시고 과꽃 내려와 물 마시

고 초록 뱀 건너와 물 마신다”. 이처럼 그의 시는 늘 자연과 한 몸을 이루면서 숨어있는 숲의 소리를 찾아 어디론가 흘러가고 있다.

                                                                                                                         

                                                                                                                                      -박남희(시인)

 

 

 

* 시인의 말

 

길이 내게 자꾸 말을 건다.

 

내려야 할 역 놓치고

늘 낯선 마을을 서성거렸다.

 

이 시들은 길 위에서 보낸 날들의

고해성사인 셈이다.

 

 

* 임형신 시인은 전북 정읍에서 태어나 숭실대학교 영문과와 국민대학교 대학원 국문과를 졸업했다. 지방과 서울에서 20여 년간 교직에 종사했으며, 2008년 불교문예로 등단했다.

 

 

임형신 시인(1948 9월~ 2022 9월10일)

故임형신 시인의 명복을 빕니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자/임형신  (0) 2014.04.09
늦봄,대추나무 / 임형신   (0) 2014.03.21
기차는 목마르다/임형신  (0) 2013.12.22
미모사/임형신  (0) 2013.12.12
유형지에 두고 온 귀/임형신  (0) 2013.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