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릉(東九陵) 동구릉 재실 추존왕 문조와 신정왕후의 수릉(綏陵)[) 문조는 제23대 순조의 아들로 효명세자 시절 대리청정을 시작하여 인재를 널리 등용하고 백선을 위한 정치를 펴기 위해 노력했으나 22세에 요절하였다. 1834년 아들 헌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익종으로 추존 되었고 고종 때 다시 문조로 .. 서울,경기 2015.04.15
사릉(思陵) 사릉(思陵)은 단종(端宗) 비(妃) 정순왕후(定順王后) 송씨(宋氏: 礪山)의 능(陵)으로 경기도 남양주시(南楊州市) 진건면(眞乾面) 사릉리(思陵里)에 있다. 정순왕후는 돈령부판사(敦寧府判事) 송현수(宋玹壽)의 딸이다. 사릉 관원으로 영(令: 從五品) 1원과 참봉(參奉: 從九品) 1원이 있다. 조.. 서울,경기 2015.04.14
광해군묘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면 송릉리에 있는 조선 제15대왕 광해군과 그 부인 문화유씨의 묘소. 사적 제363호. 묘는 쌍분이며 곡장, 혼유석, 장명등, 문인석 등이 있다. 사적 제363호. 지정면적 5만 7,742㎡. 광해군은 초기에는 빈민구제와 국방에 주력하는 등 치적이 많았으나 인조반정으로 폐위되.. 서울,경기 2015.04.13
모란미술관(야외전시관)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월산리 246-1 아낙네들 胎 우정 고행 삼단계복원 - 피에타 고향마을 아버지와 아들 이대리의 백일몽 세월의 흔적 장날 오월 바람 포즈 1990년 4월 28일 ‘21세기를 향한 조각의 새 표현 전’을 개최하면서 현대조각전문 미술관으로 개관하였다. 이후 상설전과 함께 기.. 서울,경기 2015.04.10
모란공원묘원 민주열사 추모비 만인을 위한 꿈을 하늘 아닌 땅에서 이루고자 한 청춘들 누웠나니, 스스로 몸을 바쳐 더욱 푸르고 이슬처럼 살리라던 맹세는 더욱 가슴 저미누나. 의로운 것이야말로 진실임을, 싸우는 것이야말로 양심임을 이 비 앞에 서면 새삼 알리라. 어두운 세상 밝히고자 제 자신 .. 서울,경기 2015.04.09
안양천 안양천은 1400년경 대천(大川)으로 불렸으며, 조선 후기부터는 기탄(岐灘)으로 호칭되다 근세에 이르러 안양천으로 불리게 되었다. 안양천은 한강의 제 1지류로, 경기도 의왕시 지지대 고개에서 발원하여 군포시를 경유, 안양시 도심을 중앙으로 관류하여 광명, 서울시를 거쳐 한강에 유입.. 서울,경기 2015.04.06
명동성당 명동성당 서울대교구 주교좌 명동성당은 한국교회 첫 번째 본당이다. 한국교회 첫 본당이 어떤 연유로 명동에 세워지게 됐을까. 그것은 한국교회 출발지가 다름 아닌 명동이었기 때문이다. 이승훈(베드로)이 북경에서 세례를 받고 귀국함으로써 한국교회가 시작된 1784년으로 돌아가 .. 서울,경기 2015.03.24
지평향교 경기도 양평군 지제면 지평리 외삼문 명륜당 동재 서재 1773년(영조 49)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그 밖의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5칸의 대성전, 7칸의 명륜당, 내삼문(內三門) 등이 있으며, 대성전에는 5.. 서울,경기 2015.03.23
수곡서원(水谷書院 ) 수곡서원 : 경기도 양평군 지제면 수곡리 연산군 4년(1498) 무오사화 때 화를 당한 대사헌 권경우와 현감을 지낸 치헌 권경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고자 1874년(고종 11) 건립하고 위패를 모신 사당 조선 전기(前期)의 문신으로 연산군 4년(1498)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화(禍)를 당한 대사헌 .. 서울,경기 2015.03.20
석불역 섬부리(=석불)라 하며 돌부처가 서있어 붙여진 명칭이라고 한다. 석불역(石佛驛)은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망미리에 위치한 중앙선의 역이다. 하루 4회(상•하행 각 2회)의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하던 역이었으나, 2011년 10월 5일부터 여객 취급이 중지 되었다. 중앙선 복선 전철화로 궤도.. 서울,경기 201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