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향원정(香遠亭) 향원정(香遠亭)은 향원지 가운데 섬 위에 세워진 육각형의 정자로, 누각의 평면은 정육각형이며, 이층의 익공식 기와지붕이다. 2012년 3월 2일에 보물 제1761호로 지정되었다. 이 정자는 왕과 그 가족들이 휴식을 취하는 대표적인 공간으로, 육각형 모양의 초석과 평면 그리고 육모지붕 등 .. 서울,경기 2016.05.28
경복궁 자경전(慈慶殿) 자경전 담장 경복궁 자경전을 둘러싸고 있는 담장에 새겨진 문양. 자경전은 경복궁 안에 있는 내전의 하나로 보물 제809호로 지정되어 있다. 1867년(고종 4) 경복궁 재건 때 대왕대비인 조대비(趙大妃)를 위하여 옛 자미당(紫薇堂) 터에 지은 연침(燕寢)으로, 현재 경복궁 안에 남아 있는 유.. 서울,경기 2016.05.27
경복궁 경성전(慶成殿) 경복궁 강녕전 좌측에 세로 방향으로 위치하며 임금의 침전으로 사용된 건물. 조선의 건국과 함께 1395년 경복궁의 창건 때 임금의 침전으로 건립되었다. 임금의 침전인 강녕전(康寧殿)이 연침(延寢)이었고 경성전은 서소침(西小寢), 연생전(延生殿)은 동소침(東小寢)으로 지어졌다. 건물.. 서울,경기 2016.05.26
강녕전(康寧殿)과 교태전(交泰殿) 강녕전은 왕이 일상 거처하던 전각(殿閣)으로 사정전 뒤 향오문을 지나 침전구역의 중심을 이룬다. 왕의 침전인 강녕전 일각은 대침인 강녕전을 비롯하여 이를 보좌하는 4채의 소침으로 구성되는데 강녕전은 가장 중앙에 월대를 갖추고 좌우로 넓게 서 있는 건물이다. 이름은 정도전이 .. 서울,경기 2016.05.25
경복궁 근정문(勤政門)과 행각(行閣) 근정문은 근정전 일곽의 남문으로 조선 고종 4년(1867) 중건하였으며 다포계 양식, 우진각지붕의 중층누문이다. 근정문은 현존하는 조선 왕궁의 정전 정문 중 유일하게 중층 건물로 남아 있어 장중한 위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행각도 가장 잘 남아 있다. 근정문 앞에는 어구가 흘러 영제교.. 서울,경기 2016.05.24
경복궁 천추전(千秋殿) 임금이 업무를 맡아보는 건물인 사정전(思政殿)에 부속된 건물로 사정전 서쪽에 위치한다. 경복궁 창건 때 지어진 건물이며 동쪽에 위치하는 만춘전(萬春殿)과 좌우대칭을 이룬다. 천추전(千秋殿)에는 온돌이 설치되어 주로 가을과 겨울에 이용했던 건물이다. 천추전이 건립된 당시에는 .. 서울,경기 2016.05.23
경복궁 사정전(思政殿) 2012년 3월 2일 보물 제1759호로 지정되었다. 1395년 태조 때 경복궁이 창건되면서 건립되었고 '사정(思政)'이라는 편전의 이름은 정도전이 지었다. 이곳은 경복궁의 편전(便殿)으로 임금이 평상시에 머물면서 정사를 펼치던 곳이었다. 정전인 근정전 바로 뒷편에 위치하며 사이에 사정문(思.. 서울,경기 2016.05.22
경복궁 근정전(勤政殿) 국보 제223호. 다포계 양식의 팔작지붕 중층 건물이다. 조선 초기부터 역대 국왕의 즉위식이나 대례 등을 거행하던 정전이다. 현재의 건물은 1867년 중건된 것이다. 일월곤륜도 조선시대 궁궐 정전(正殿)의 어좌(御座) 뒤, 또는 야외 행사 때에는 천막 안의 옥좌 뒤에, 사후에는 빈전(殯殿)에.. 서울,경기 2016.05.21
경복궁 흥례문(興禮門) 창건된 것은 1395년(조선 태조 4)으로, 원래 이름은 '예(禮)를 널리 편다'는 뜻의 홍례문(弘禮門)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소실(燒失)되었다가 1867년(고종 4)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이하응(李昰應)이 중건하면서 청(淸) 건륭제(乾隆帝)의 이름인 홍력(弘歷)에서 홍(弘)자를 피하기 위.. 서울,경기 2016.05.20
국립고궁박물관(國立古宮博物館) 국립고궁박물관(國立古宮博物館)은 조선왕조와 대한제국의 궁궐 유물들을 전문적으로 수집, 전시하는 문화재청 소속 박물관이다. 서울 경복궁 경내 동쪽에 있으며 국가적 의례와 궁중의 실생활을 보여주는 유물 4만여 점을 소장하고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원래 대한제국 순종 재위 시.. 서울,경기 2016.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