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창 생가 (李建昌生家) 천연기념물 제79호로 지정되어 있는 사기리 탱자나무 맞은 편에는 영재 이건창 선생의 생가인 명미당이 있다. 이건창 선생(1852∼1898)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대문장가로 강직한 성품을 지녀 고종의 총애를 받았다고 전한다. 15세의 어린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특히 부정한 관리를 .. 서울,경기 2015.03.03
덕진진 경고비(警告碑) 해문방수타국선신물과 (海門防守他國船愼勿過) 경고비 뒷면 덕진진 남쪽 끝 덕진돈대 앞에 있으며 1986년 4월 1일 강화군 향토유적 제9호로 지정되었다. 1867년(고종 4) 흥선대원군의 명으로 강화 덕진첨사가 건립하였다. 이 비는 장대석의 지대 위에 기단석을 놓고 대리암으로 된 비신을 세.. 서울,경기 2015.03.01
덕진돈대(德津墩臺) 1679년(숙종 5)에 축조하였으며 덕진진 안에 있다. 1871년(고종 8) 신미양요(辛未洋擾)가 일어났을 때 남장포대, 덕포포대와 함께 미국의 아시아 함대와 이틀에 걸친 치열한 포격전이 벌어졌던 곳이다. 신미양요 때 크게 파괴되었으나 1977년 강화 중요 국방유적 복원정화사업 당시 새롭게 복.. 서울,경기 2015.02.27
남장포대(南障砲臺) 강화는 남·서·북 삼면에 아무런 방비시설이 없어 소홀한 감이 있었으나 1679년(숙종 5)에 유수(留守) 윤이제(尹以濟)가 돈대를 쌓아 방비하였다. 이 남장포대는 강화 9개 포대 중의 하나로, 1871년(숙종 5)에 축조되었으며 덕진진(德津鎭)의 관할하에 있었다. 자연적인 지리를 교묘하게 이.. 서울,경기 2015.02.25
강화 덕진진(德津鎭) 원래 덕포진이 강화에 있었는데 1666년(현종 7)에 통진(지금 김포시 대곶면)으로 옮겼다. 그 자리에 덕진진이 설치됐다. 덕진진은 손돌목돈대와 덕진돈대를 관할했다. 숙종 대에 이곳에 덕진정사라는 행궁을 지었다. 이후 행궁이 읍내에 새로 건립되면서 덕진정사는 폐지됐다. 1866년(고종 3.. 서울,경기 2015.02.23
강화 초지진(草芝鎭) 사적 제225호. 1716년(숙종 42) 강화 해안을 지키기 위해 조직되었다. 1870년대에 미국과 일본의 침략에 맞서 싸운 전적지이기도 하다. 『여지도서(輿地圖書)』와 『강화부지(江華府志)』에 따르면 1716년에 설치되었으며, 1726년(영조 2)에 진장(鎭將)으로 종4품 무관인 병마만호(兵馬萬戶)가 배.. 서울,경기 2015.02.17
영풍문고 종로점 영풍문고 종로본점은 1992년 7월 14일 개점하였으며 국내 서점 중 최대 규모인 3,200평으로 지하1층과 지하2층 매장으로 구분되어 있다. 지하1층에는 국내외 35만 여종의 도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도서정보 및 이용안내 그리고 회원가입, 택배발송 등을 하실 수 있는 고객서비스센터가 마련되.. 서울,경기 2015.01.09
도봉산 입구 도봉산 앞의 상가 자리가 예전엔 막걸리와 함께 도토리묵과 파전등 부침개 가게들이 즐비하던 곳이다. 80년대 중,후반 쯤 왔다가... 이십 몇 년 만에 다시 찾은 도봉산 입구 풍경. 만장봉 조형물 이화우(梨花雨) 흩뿌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임 추풍낙엽(秋風落葉)에 저도 나를 생각하는가 .. 서울,경기 2014.12.23
도봉산 입구 돼지갈비 섬진강 돼지갈비 술, 담배 끊은지 9년.. 술을 끊으니 술 안주로 자주 먹던 돼지갈비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었다. 혼자 먹자고 만들어 먹기는 너무 번거롭고 귀찮다. 친구나 나나 술 없이는 못 먹는 줄 알았던 돼지갈비, 오랜만에 오늘 점심 식사로 한번 먹어보자하고 찾은 식당이다.. 서울,경기 2014.12.21
보광사(普光寺)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가곡리 419 보광사 대웅보전 보광사(普光寺)는 경기도 남양주시의 천마산 동쪽 기슭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다. 조계종 제25교구 본사 봉선사의 말사이다. 같은 봉선사 말사인 파주시 보광사와 사찰의 이름이 같아 종종 혼동이 있다. 천마산 보광.. 서울,경기 2014.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