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삿갓의 終命家(난고 김병연선생이 운명하신 집) 김삿갓이 마지막 생을 마감했다는 창원 정씨 종택 행랑채.. 우물 돌담과 우물 뒤쪽 사립문 위 안내도로 초분지를 찾아 마을을 한바퀴 돌았으나 찾을수가 없었다. 좀 더 성의있는 안내표시가 있어야 하겠다.. 구암리 마을 골목 구암리 마을 골목길 화순군 동복면 구암리(구암마을) .. 전라도 2011.11.04
물염적벽(勿染赤壁) 물염적벽(勿染赤壁) 화순 북동쪽 14 km, 동복(同福) 북쪽 5 km 지점에 있는 옹성산(瓮城山)의 서쪽 절벽이 동복천 물염(勿染)에서 물에 비치는 경치를 말한다. 옹성산 서쪽 기슭은 침식과 풍화작용으로 절리(節理)를 이룬데다가, 물염에서 내려오는 푸른 물이 영신천(靈神川)에서 내려.. 전라도 2011.11.03
물염정(勿染亭) 물염정(勿染亭) 화순 북동쪽 14km, 동복(同福) 북쪽 5km 지점인 화순군 이서면 창랑리 물염마을 ‘화순 적벽’ 상류에 세워진 정자이다. 화순의 경승지인 ‘화순적벽(和順赤壁, 전라남도기념물 제60호)’ 상류의 물염적벽을 조망할 수 있는 곳에 세워진 정자로, 화순군향토문화유산 .. 전라도 2011.11.02
소쇄원(瀟灑園) 전남 담양군 남면 지곡리 123 소쇄원 입구 소쇄원은 조선중기 양산보(梁山甫,1503~1557)가 조성한 대표적인 민간 별서정원이다. 양산보는 스승인 조광조가 기묘사화로 능주로 유배되고 사사(賜死)되자 세속의 뜻을 버리고 고향인 창암촌에 소쇄원을 조성하였다.. 오곡문(우암 송시열.. 전라도 2011.11.01
식영정(息影亭) 부용당(芙蓉堂) 서하당 왼쪽 옆에는 부용당(芙蓉堂)이 있다. 이 부용당은 1972년에 지어 졌다한다. 방이 하나 있고 마루가 있다. 그리고 그 앞에는 연못이 있다. 석천과 송강은 이 연못을 부용당(芙蓉塘: 연꽃이 피는 연못)이라 했다. 부용당이라는 연못 이름은 식영정 20영에도 나온.. 전라도 2011.10.31
죽림재(竹林齋) 취사당(聚斯堂-竹林祠 講堂) 취사당(聚斯堂-竹林祠 講堂) 취사당(聚斯堂-竹林祠 講堂) 취사당(聚斯堂-竹林祠 講堂) 세일재(歲一齋 - 曺由道의 墓閣) 세일재(歲一齋 - 曺由道의 墓閣) 세일재(歲一齋 - 曺由道의 墓閣) 앙지문(仰止門) 죽림사(竹林祠) 죽림사(竹林祠) 죽림과 그 아들인 .. 전라도 2011.10.30
후산리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 전라도 2011.10.29
명옥헌원림(鳴玉軒苑林) 담양군 고서면 산덕리 513 명옥헌 현판의 글씨는 우암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이 1673년(헌종14년)에 바위에 적은 글씨를 옮겨 만든것이라고하며, 물소리가 구슬에 부딪쳐나는 소리와 같다고 하여 명옥헌(鳴玉軒) 이라고 이름 지었다고 한다.. 삼고(三顧)라고 쓰여진 현판은 후한 말엽.. 전라도 2011.10.28
송강정(松江亭) 담양군 고서면 원강리 산1 송강정은 조선 선조 17년(1584) 송강 정철이 대사헌을 지내다 당시의 동인과 서인의 싸움으로 벼슬에서 물러난 후 창평에 내려와 정자를 세운 것이다. 죽록정을 고쳐 지어 송강정이라 일컬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단층 팔작지붕(네 귀에 모두 추녀를 달.. 전라도 2011.10.27
면앙정(俛仰亭) 첫번째 계단 면앙정으로 오르는 돌계단은 3단계로 나뉘어져 있으며 상당히 높고 가파르다.... 두번째 계단 먼저 올라간 친구가 힘이 드는지 한숨 고르고 있다.. 마지막 세번째 계단으로 제일 높다.. 높고 가파른 3단계의 돌계단은 모두 141계단이다.. 장애자나 무릎이 아픈 노인들을 .. 전라도 2011.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