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미소처럼 늙어라 정미소처럼 늙어라 유강희 나 늙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으리 아직은 늙음을 사랑할 순 없지만 언젠가 사랑하게 되리 하루하루가 다소곳하게 조금은 수줍은 영혼으로 늙기를 바라네 어느 날 쭈글쭈글한 주름 찾아오면 높은 산에 올라 채취한 나물처럼 그 속에 한없는 겸손과 한 번도 가져본 적 없는 하.. 서울,경기 2008.08.30
석산2리(섬이마을) 농촌전통 테마마을 양평군 단월면 석산2리에 폐교(산음초등학교 산대분교장)를 활용한 ‘농촌전통테마마을’이 문을 열었다. 양평군은 최근 김선교 군수, 권오균 군의원, 정인영 도의원, 이강섭 석산2리 이장을 비롯해 유관기관단체장과 마을 주민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농촌전통테마마을 준공식을 가졌다. 농촌전.. 서울,경기 2008.08.30
섬이마을과 석산계곡 경기도 양평과 홍천군 서면이 경계에 있는 단월면 석산2리 섬이마을입니다. 한 때 60호가까이 살았던 마을이 10여년 전에는 불과 10여호만 남았다가 도로가 포장되고 전원생활을 꿈꾸는 이들이 하나씩 들어오면서 이제는 등록 가구가 36호 상시거주 가구가 26호는 작지만 아름다운 마을입니다. 앞에 보.. 서울,경기 2008.08.29
석산리 석간수(石間水) 이 석간수는 소리산과 봉미산의 정기를 받아 골짜기가 아닌 능선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분출되는 것으로 맥반석사이에 진참흙이 꽉 들어찬 틈새를 통과하여 지장수 역할도 하는 옹달샘입니다. 또한 이 석간수는 장기간 보관하여도 이끼가 끼지 않고 변하지 않는 특성이있는 샘물입니다. 서울,경기 2008.08.29
단월면과 산음계곡 군내의 북단에 위치한 면으로 면적 85.4㎢, 17개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사무소는 보룡리에 있다. 숙종 14년(1688) 지평군 하북면이라 칭하였다. 1914년 3월 1일 부령(府令) 제111호에 의한 부·군·면 합병에 따라 9개리를 관할하게 되었다.구한국시대부터 지평군의 북쪽에 위치하여 북면(北面)으로 불려오.. 서울,경기 2008.08.29
항양 박원겸선생 신도비 보룡1리 한터마을의 입구에 있는 무안박씨 송림공(務安朴氏 松林公)의 6대손 박원겸(朴元謙)선생의 신도비와 아름드리 느티나무 노거수들이 위엄을 자랑 하고 있다. 고려 말 공민왕(高麗 末 恭愍王)때 간의대부(諫議大夫)에 오른 무안박씨 송림공(務安朴氏 松林公)의 6대손 박원겸(朴元謙)선생의 신도.. 서울,경기 2008.08.29
보산정(寶山亭) 경기 양평군 단월면 보룡리 산 337-2 (향토유적 제11호) 보산정(寶山亭)은 고려 말(高麗 末) 공민왕(恭愍王)(재위(在位)1351~1374)때 무안박씨(務安朴氏)의 선조인 간의대부 송림공(諫議大夫 松林公)이 당시 정계(政界)와 왕궁(王宮)의 혼란을 피해 이곳에 낙향, 이곳에 시회장(詩會場)으로 건립한 것이 그 .. 서울,경기 2008.08.28
퇴촌장날 퇴촌장날: 5일,10일 조선시대(朝鮮時代)초기의 개국공신인 한산군(漢山君)조영무(趙英茂)가 노약하여 정계(政界)를 은퇴하면서 광주(廣州)의 동쪽 마을인 광동리(光東里)로 와서 말년을 보내면서 호(號)를 ‘퇴촌(退村)’이라고 하였는데, 조영무(趙英茂)의 호(號)가 면명(面名)이 된 것임. 중정남한지(.. 서울,경기 2008.08.28
퇴촌 도수지(陶水池) 이 마을은 조선조 말 대한제국(大韓帝國) 시대에는 도지동(陶池洞), 수동리, (水東里), 탑선동(塔仙洞) 등 3개 행정구역으로 되어 있었으나, 1914년 일제(日帝) 강점기에 행정구역을 통폐합하면서 도지동의 도(陶)와, 수동리의 수(水)를 따서 도수리(陶水里)라고 부르게 되었다. 퇴촌면 소재지인 광동리와 .. 서울,경기 2008.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