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현서원(한국민속촌) 대문을 들어서면 왼쪽에 구시재 강당과 강연을 위한 보인당이 있고 오른쪽 뒤편에 판서각인 이아각이 있다. 서원 중심부에 강학을 하는 박약당이 있고 그 뒤편에 충절사라는 사당이 있다. 구시재(求是齋) 강당 충현서원은 충절순국공신의 우국충절을 숭모하고 선양하고자 고려말의 포은 정몽주,조선.. 서울,경기 2008.06.28
선비집(한국민속촌) 이 가옥은 전형적인 선비 주택을 재현한 것으로, 본채와 문간채, 재사,초당,사당등의 부속건물을 고루 갖추고 있다. 본채를 ㅁ자로 지어 바깥쪽은 사랑채로 활용하고 안쪽은 안채로 활용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주택의 특징은 토호의 대주택처럼 호화롭거나 번거럽지 않고 조촐한 편에 속하.. 서울,경기 2008.06.27
저잣거리(한국민속촌) 저잣거리/바람개비 이맘 때 저자에 가면 웬지 용수 박아 맑은 술 떠낸 술지게미에 설탕 넣어 입맛 다시며 먹다가 술이 덜 깬 채 학교 가던 생각이 난다 시장 뒷골목엔 어느새 젓가락 장단이 흘러나오고 추석을 준비하는 장사꾼들의 손가락엔 침이 버석버석 마르고 아낙들은 시장을 통째로 제삿상에 올.. 서울,경기 2008.06.26
내자원(한국민속촌 셋트장) 내자원은 조선시대 내시 사설양성소 평시교육은 사서와 소학,삼강행실등의 교육을 받았으며 매달시험을 치르고 평가를 받았으며 품계는 종2품까지 부여하였다. 내시는 왕의 측근으로 본래는 선천적인 거세자가 임명되었으나 스스로 거세하여 내시로 임명되는 자들도 많았다.내자원구조는 솟을대문,.. 서울,경기 2008.06.25
북부지방 농가 관북지방의 꽤 큰 농가형식이며 공간의 배치가 매우 고르고 규모가 갖추어진 집이다. 큰부엌의 구들머리인 정주간에 5개의 방들이 안마루없이 밀집양통(密集兩通)으로 구성되어 동절기 보온 위주로 계획되어 있다. 규모가 큰 외양간과 방앗간,곳간도 정연하게 배치되어 있다. 서울,경기 2008.06.22
양반가(민속촌 전통혼례식장) 안초당은 결혼하기 전 딸들이 거처하는 공간으로 학문을 하거나,서예,자수등을 하면서 신부로서 갖춰야 할 심신을 수양하는 곳이다. 주로 내당 후원 조용한 곳에 위치하며 대청과 방으로만 구성된 규모가 작은 건물이다. 모든 건물이 기와인 반면 이엉으로 되어 있어 초당(草堂)이라 한다 사당 : 조상.. 서울,경기 2008.06.18
너와집과 굴피귀틀집 (한국민속촌) 너와집(한국민속촌) 산간지대나 화전지역에서 관찰 할 수 있는 전통가옥이다. 너와는 지붕을 덮는 재료로 지방에 따라 느에,능에,너새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너와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나 보통 가로20~30cm,세로40~60cm,두께4~5cm로 수명은 10~20년이다. 너와로 이은 지붕은 너와와 너와 사이에 틈이 있어 .. 서울,경기 2008.06.17
서낭당(한국민속촌) 마을의 수호신으로 서낭을 모셔놓은 신당. ‘성황당’이라고도 한다. 마을 어귀나 고갯마루에 원추형으로 쌓아 놓은 돌무더기 형태로, 그 곁에는 보통 신목으로 신성시되는 나무 또는 장승이 세워져 있기도 하다. 이곳을 지날 때는 그 위에 돌 세 개를 얹고 세 번 절을 한 다음 침을 세 번 뱉으면 재수.. 서울,경기 2008.06.16
점술집(한국민속촌) 모든 문화(고대사회와 현대사회, 원시사회와 고도의 문명사회)와 모든 지역에 존재한다. 서구사회에서는 주로 점성술이 성행하고 있다(→ 점성술). 점술이 미래를 정확하게 예언할 수 있음을 입증하는 과학적인 증거는 제시된 바 없다. 점술의 방식은 귀납적·해석적·직관적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 서울,경기 2008.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