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몽린의 묘 효종의 부마인 원몽린 묘 전경. 뒤는 원만리 묘이다 □ 소재지 : 대신면 상구리 □ 시 대 : 조선 □ 지정사항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29호 원몽린(1648~1674)은 현종대의 인물로 본관은 원주, 자는 용여(龍歟), 호는 죽서(竹西)이다. 원산군(原山君) 원황(元滉, ?~1442)의 후손으로 충익공(忠翼公) 원두표의 손.. 서울,경기 2007.04.06
고달사지 일명(逸名)귀부 이 귀부는 고달사지 원종대사혜진탑비에서 북쪽으로 40m 정도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비신과 이수가 남아있지 않으며, 귀두와 비좌에 파손된 부위가 많다. 귀부의 귀두는 원종대사혜진탑비의 귀부와 동일한 방향을 보고 있으며, 원위치로 추정된다. 지대석과 귀부는 동일석으로 치석되었다. 지.. 서울,경기 2007.04.03
원종대사혜진탑비 귀부 및 이수(보물 제6호) 이 탑비는 고달사지 사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수의 제액부에 주인공이 음각되어 있으며, 비문이 전하고 있어 건립 시기를 분명하게 알 수 있는 귀부와 이수이다. 그리고 귀부 외곽으로 초석과 긴 사각형 돌이 구획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원래는 비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비문의 기록에도 비각이.. 서울,경기 2007.04.03
고달사지 석불대좌(보물 제8호) 하대석·중대석·상대석을 구비한 평면 방형의 석조 불상대좌이다. 상면의 불상은 결실되었지만, 규모나 조각수법에서 당당한 기풍을 지니고 있는데, 하대석의 서쪽 면에 약간의 균열과 파손이 있을 뿐 보존 상태는 매우 양호하다. 수매의 판석을 사용해 지대석을 구축한 후 하대석을 놓았다. 하대석.. 서울,경기 2007.04.02
여주 고달사지 □ 소재지 :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411-1 □ 시 대 : 통일신라 □ 지정사항 : 사적 제382호 고달사지는 해발 400~500m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盆地)의 서북쪽 고달산(혜목산, 현지명은 우두산) 동쪽 경사면에 위치한 절터이다. 고달사의 정확한 창건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아 764년(신라 경덕왕 23)에 창건되.. 서울,경기 2007.04.02
주록리(사슴마을) 여주군 금사면 주록리 사슴마을(농촌체험현장) 주록리는 옛날에 인가가 적은 마을이었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이 마을을 주록, 주록거리 등으로 불렀는데 주록은 ‘사슴이 뛰어 논다’는 뜻이다. 그래서 주록거리라고 부르다가 마을이 형성되면서 주록리가 되었다고 전한다. 주록거리(노루목), 안산 .. 서울,경기 2007.04.01
못저리 마을 솟대와 장승 지하여장군 천하대장군 경기도 양평군 지제면 일신3리 소재 장승: 흔히 마을 입구에 세우는 장승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잡귀와 흉액을 막는 신으로서 장신 ·수살 ·벅수 ·우석목 등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흔히 천하대장군 ·지하여장군으로 남녀 1쌍을 만들어 세운다. 장승의 기능은 외부에.. 서울,경기 2007.04.01
지제면 일신리 일신리(日新里) 본래 지평군 하동면의 지역이었는데, 1908년에 양평군으로 편입되었고, 1914년 지방 행정구역 폐합 조치에 따라 금동리, 지산리, 구둔리, 신촌리, 노일리를 합쳐, 이 지역 중에서 노일리와 신촌리의 지명을 본떠 일신리라 하고 지제면에 편입되었다. 구둔역이 있는 마을이다. 서울,경기 2007.03.31
양평 망미리(望美里) 망미리(望美里) 본래 지평군 군내면의 지역인데, 1908년에 양평군으로 편입되었고, 1914년 지방 행정구역 폐합 조치에 따라 론리, 석불리, 신대리를 합쳐 망미산 밑의 마을로 망미리라 하면서 지제면에 편입시켜 오고 있다. 1988년 8월 1일 기준으로 2개 행정리와 6개 반의 지역 편성이 되었다. 망미1리(4개 .. 서울,경기 2007.03.31
김영구 가옥(金榮龜家屋) 조선시대 사대부의 살림집이던 김영구 가옥 □ 소재지 : 대신면 보통리 190-2 □ 시 대 : 조선(1753년) □ 지정사항 : 중요민속자료 제126호 김영구 가옥은 1999년 5월 13일 개와(蓋瓦) 수리 공사중에 “숭정기원후(崇禎紀元後) 삼계유(三癸酉) 이월(二月) 이십칠일(二十七日) 사시(巳時) 상량(上樑) 임좌(壬坐) .. 서울,경기 2007.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