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양부원군 이충원 유적지 여주군 금사면 백자리 소재 완양부원군이충원호성공신교서(完陽府院君李忠元扈聖功臣敎書)보물874호 선조 37년(1604) 10월에 이충원에게 상장과 훈장을 내린 교서이다. 명주에 두꺼운 선지를 포개 붙여 만든 것으로 가로 230cm, 세로 36cm의 두루마리이며, 앞뒤 공백인 부분까지의 길이는 총 298.3cm이다. 임.. 서울,경기 2007.02.10
양평 5일장 3일, 8일 양평장 5일장은 5일마다 열리는 장을 말합니다. 5일장이 서기 시작한 시기는 조선시대 15세기 말 시작한 열흘 간격으로 열리던 장시(시장)가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그 수가 증가하여 17세기 후반에는 5일 간격으로 열리게 됩니다. 열흘간격이 닷새간격으로 바뀌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이들은 .. 서울,경기 2007.02.10
겨울나무 겨울나무 (이원수 작사 정세문작곡) 나무야 나무야 겨울 나무야 눈 쌓인 응달에 외로이 서서 아무도 찾지 않는 추운 겨울을 바람 따라 휘파람만 불고 있느냐 평생을 살아 봐도 늘 한자리 넓은 세상 얘기도 바람께 듣고 꽃 피던 봄 여름 생각하면서 나무는 휘파람만 불고 있구나 서울,경기 2007.02.08
허난설헌 묘 허난설헌묘 : 경기 광주시 초월읍 지월리 허난설헌은 사임당과 반대의 여성이었다. 그녀는 자신의 재능으로 인해 불행했기 때문이다. 그녀는 27살에 죽기까 지 길지 않은 삶을 살았을 뿐이지만 그 짧은 삶도 별달리 행복하지 못했다. 허난설헌의 시적 재능은 중국과 일본에 까지 알려져 .. 서울,경기 2007.02.03
이포리(梨浦里) 여주군 금사면 이포리 전경 ㆍ이포리(梨浦里) (구전자:최병두 78세)- 이포리는 본래 여주군 금사면의 지역으로서, 조선시대에는 세곡과 물화를 싣고 풀던 큰 나루터였으며, 이곳을 지나가는 행인들이 배나무 꽃이 활짝 핀 것을 보고 배나무 이(梨)자와 물가 포(浦)자를 합쳐 이곳을 이포라고 부르게 되.. 서울,경기 2007.01.27
이포 삼신당(三神堂) 40년전의 용녀는 지금 어디에 있을까...? 삼신당에서 바라본 남한강 배꽃나루터, 이포마을의 700년 전통 쌀과 도자기, 세종대왕릉과 명성황후의 생가로 유명한 여주의 서북쪽, 금사면 이포리가 있다. 남한강을 끼고있는 이포리(梨浦里)는 조선시대 세곡과 물화를 싣고 풀던 큰 나루터. 이 곳을 지나는 행.. 서울,경기 2007.01.25
이포 나루터 이포나루는 예로부터 강원도와 한양을 잇는 나루터로서, 조선 시대까지 사람과 물건이 많이 오가던 상당히 번화한 곳이었어요. 이 곳 이포나루에서 황토돛배를 타고 상류로 오르면 여주ㆍ충주ㆍ탄금대로 이어져 문경새재에 닿았으며, 하류쪽으로는 양평ㆍ양수리ㆍ한강을 따라 서해로 빠져 나가기도.. 서울,경기 2007.01.24
썰매타는 아이들 곤지암천에서 썰매타는 아이들 서르매, 산서르매, 설매 등으로도 부른다. 한자어의 표기 '雪馬(설마)', '雪鷹(설응)'에서 보듯이 눈 위를 말이나 매처럼 빠르게 달린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이다. 썰매의 어원을 한자의 '雪馬'로 보는 설도 있으나, ' 雪馬'는 썰매를 한자로 표기한 것에 불과하다고 보는 것.. 서울,경기 2007.01.22